사이트 전체 검색영역
  • Twitter
  • Facebook
  • YouTube
  • blog

문화산업 현장의 가장 뜨거운 소식을 전문가들이 진단합니다.

우리나라 문화계의 가장 최신 소식부터 흐름 진단까지 재밌고 알찬 정보를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전합니다.

로마의 길, 예술의 길
로마의 길, 예술의 길
2024-03-05
로마의 길, 예술의 길글 양재무 음악감독 (보이스 오케스트라 이마에스트리)1990년 약간은 늦은 나이에 로마로 유학길을 떠났다.이탈리아 로마는 나에게 문화를 가르쳐준 나라이고 도시이다.많은 문화유적과 형형색색의 옷들이 나를 반겼고,어디든 갈 수 있는 회전 로터리들은 나에게 앞을 내다보게 해주었다.나의 로마, 나의 이탈리아는웃음이 가득한 도시, 여유가 있는 나라다.쌉쌀하면서도 고소한 에스프레소는 언제나 기억에 남을 것이다. 1990년 이탈리아 국영방송은 야심에 찬 계획을 세웠다. 그 결과 루치아노 파바로티(1935~2007, 이탈리아), 플라시도 도밍고(1941~, 스페인), 호세 카레라스(1946, 스페인) 3명의 테너가 카라칼라 고대 로마의 목욕탕 유적지에 모여 1990년 FIFA 이탈리아 월드컵 개막식 전야제를 밝혔다. 이 야심에 찬 계획은 의도했는지 아니면 시대의..
한국 예술(K-Art)과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
한국 예술(K-Art)과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
2024-02-05
한국 예술(K-Art)과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글 양초롱 (조선대학교 회화학과 겸임교수) 이 글은 국제화 시대 한국 예술이 신뢰와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고민해야 할 여러 지점을 모색해 보고자 작성한 것이다. 이런 모색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점을 인식해야만 한다. 사실, 문제는 예술(가)에 있지 않다. 예술을 이용하는 대상(인)에 있다.1. 지금의 한국, 확장된 예술? 지난 2023년 12월,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최고의 예술, 모두의 문화’를 위한 “문화예술 3대 혁신전략”과 “10대 핵심과제”를 발표했다. 그 가운데 특히 예술인 지원 방식의 변화가 시선을 끌었다. 기존의 개인 단위 소액의 다(多)건, 일회성 및 직접 지원 방식에서 벗어나 대규모 프로젝트, 다년간·간접 지원 방식으로 대전환하기 때문이다. 물론 유통, 향..
2024 국악 & 클래식 이모저모
2024 국악 & 클래식 이모저모
2024-02-05
2024 국악 & 클래식 이모저모 글 이세은 (객원 에디터) 작년 8월, 세계 최대 공연예술 축제인 ‘에든버러 페스티벌(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에서 한국 특집주간 <포커스 온 코리아(Focus on Korea)>이 마련되어 큰 이목을 끌었다. 페스티벌의 5개 협력국 중 유일하게 한국만이 특집 주간으로 소개되었으며, 무대에 오른 콘텐츠는 한국 전통예술(국립창극단 <트로이의 여인들>)과 한국 클래식 음악가들의 연주였다.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 열풍을 넘어, 순수예술의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클래식 연주자들의 잇따른 국제 콩쿠르 수상 소식을 비롯하여 국악 밴드 ‘이날치’, 민요 록밴드 ‘씽씽’, 퓨전 국악 밴드 ‘잠비나이’ 등 여러 예술가 및 단체들의 해외 공연은 줄곧 화제가 되기..
 검색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