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업 현장의 가장 뜨거운 소식을 전문가들이 진단합니다.
우리나라 문화계의 가장 최신 소식부터 흐름 진단까지 재밌고 알찬 정보를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전합니다.
‘슈퍼스타K’ 로 시작된 오디션 프로그램 열풍은 여전히 ‘현재진행형’ 인 것 같다. 현재 SBS에서 방영되고 있는 ‘K팝스타’ 가 상당히 좋은 반응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슈퍼스타K’ 가 예전만 못하다는 지적도 있었고, 야심차게 방송을 시작했던 프로그램들이 별다른 반응을 얻지 못한 채 종영되는 경우도 있었던 게 사실이다. 한정된 공간에 살고 있는 한정된 수의 사람들 때문에 회가 거듭할수록 ‘인재’ 가 줄어들 것이라는 부정적 견해가 쏟아졌던 것도 맞다. 하지만 ‘슈퍼스타K’ 도 방영 당시 참가자들이 실시간 검색어를 들락거렸고, ‘K팝스타’ 는 실시간 검색어는 물론이고 음원 차트까지 점령하고 있는 상태다. 이쯤 되면 ‘한 물 갔다’ 는 사람들의 의견은 쉽게 동의할 수 없을 것이다.
▲ K-Pop Star의 시즌별 우승자들 '박지민', '악동뮤지션', '버나드박'
끊임없는 이슈화 성공, 부정적 여론은 무색하다?
최근 이슈화에 성공한 ‘K팝스타’를 들여다보자. 화제를 몰고 다녔던 특이한 보이스의 소유자 ‘이진아’ 부터 시작해 ‘사랑에 빠지고 싶다’ 로 모든 이의 시선을 사로잡은 ‘정승환’ 이 음원 차트에서 힘을 발휘했다. 화제의 참가자 ‘서예안’ 이 부른 가창곡인 ‘Ariana Grende’ 의 ‘Problem’ 은 팝으로서는 이례적으로 차트에 진입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K팝스타’ 와 연관된 콘텐츠를 찾아보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본 방송이 방영되고 나면 관련 참가자와 음악의 SNS의 언급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대중들의 관심 안에 있다는 것이다. 식상하다는 평가에도, 여전히 오디션 프로그램에 관련된 이야기들은 뜨거운 이슈인 이유는 도대체 무엇일까?
감동을 만들어 낸다, 영상과 음악의 힘
가장 먼저 감동을 만들어 내는 영상과 음악의 힘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음악은 물론 중요한 수단이다. 하지만 영상과 함께 라이브로 듣는 건 시너지 자체가 다르다. 편집 시 어느 정도의 후작업을 거친 다는 말이 있긴 하지만, 대중들은 마지막으로 완성된 형태의 콘텐츠를 접하며 눈과 귀로 오는 감동을 직접 체험하게 된다. ‘슈퍼스타K’ 도 이런 경향은 마찬가지였다. 방송이 진행되고 있던 시점에서 참가자들이 이슈화 된 건 감탄사를 연발하게 만드는 노래 실력이었다. ‘K팝스타’ 역시 이런 키워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다는 걸 감안해 보면 영상과 음악이 함께 어우러질 때 생기는 파괴력은 대단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부분은 기획자들에게 말하는 바가 상당히 크다. 음악을 다룬 프로그램 콘텐츠의 수출 가능성이다. 현재 아시아, 남미권에서는 국내 예능 콘텐츠가 상당히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런닝맨’ 에 출연중인 ‘이광수’ 는 예능 프로그램 덕분에 스타덤에 오를 정도다. 한류 문화를 즐기는 사람들이 한국에서 만들어 지는 예능 콘텐츠를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는 게 바로 요즘의 현실이자 기회다. 이럴 때 음악, 특히 케이팝을 소재로 한 예능 프로그램이 만들어 져서 성공적으로 해외에 나갈 수 있다면 매우 좋을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국내 음악계의 저변도 넓히고, 아티스트들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테니 말이다. 변함없이 오감을 충족시키며 많은 시청자들의 지지를 얻고 있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인기 요인이 어디서 나오는지 함께 더 고민해 본다면 훌륭한 답안이 나오리라 믿는다.
▲ 슈퍼스타 6에서 뛰어난 노래실력으로 감동을 선사한 3인방 곽진언, 김필, 임도혁
여전히 대중들은 ‘진짜’ 음악에 반응한다
게다가 오디션 프로그램의 변함없는 열풍은 여전히 대중들이 ‘진짜’ 음악에 반응 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진짜 음악이라는 단어를 쓰니 마치 가짜 음악이 존재하는 것처럼 느껴질지도 모르나, 실제로 가짜 음악은 존재한다. 음악이라는 대상을 빌어 음악 이야기가 아니라 자극적 이슈만 만들어 내는 가수들이 생각보다 많다. ‘이슈화’ 라는 건 사람을 깊이 멍들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2014년 한 해 동안 선정성 논란으로 많은 가수들이 도마에 올랐다는 사실을 기억할 것이다. 즉각적인 반응, 그리고 빠른 이슈화가 필요하니 자극적인 측면에만 집중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대중들이 이런 이슈에만 반응한다면, 현재 음원 차트들은 섹시한 가수들로만 채워져 있는 게 맞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큰 감동을 선사한 주인공들도 자극보단 감동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이다. 프로그램에서 만난 참가자들은 성적인 어필이나 눈을 현혹하는 일에 몰두하지 않는다. 음악이다. 노래 잘 한다는 사실로 대중들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그리고 대중들은 이에 대한 화답으로 음원 차트 상위권에 이들의 노래를 자리하게 만든다. 여전히 대중들이 ‘진짜’ 로 음악 다운 음악에 반응 한다는 것이다. 오디션 프로그램의 열풍은 어쩌면 들을 음악이 없다는 안타까운 말들을 증명하는 일인지도 모른다. 그만큼 우리가 음악 외 적인 측면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는 뜻일 수도 있다. 오디션 프로그램은 그래서 이렇게 말한다. 이제 다시 음악을 해야 할 때라고. 음악을 잘 하는 방식으로 대중들과 소통해야만 하는 때라고.
숨겨진 음악, 명곡의 재발견
숨겨진 음악을 찾아내거나 명곡을 재발견하는 데 있어서도 오디션 프로그램은 쏠쏠한 재미를 준다. 훌륭함에도 불구하고 묻혀있었거나 혹은 과거에 아름다웠던 유산 같은 음악들이 다시 빛을 보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이번 ‘슈퍼스타K’ 는 ‘포스트맨’ 이라는 아티스트를 수면 위로 부상시켰고, ‘K팝스타’ 는 ‘이진아’ 의 과거 앨범과 ‘김조한’ 의 ‘사랑에 빠지고 싶다’를 다시 관심사 안으로 복귀시켰다. 생각보다 흥미로운 일이다. 누군가의 노력으로 자신들의 플레이리스트가 꽉 찬다는 느낌은 짜릿하다. 이 짜릿함을 공유하며 대중들은 공감대를 만든다. 음악 자체로 수없이 많은 이야기들이 형성되는 것이다.
결국 이런 구조 안에서 오디션 프로그램은 늘 뜨거울 수 밖에 없다. 자체적인 생명력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찾아보고, 들어보고, 나누며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이야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SNS가 발달했다지만, 이렇게 언급량이 늘어나는 공통의 주제는 찾기가 어렵다. 음악적인 주제를 찾기는 더더욱 어려운 상황에서, 음악으로 자생적인 힘을 발휘하고 있으니 열풍이 오래 갈 수 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런 경향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 회의적인 시선 속에서도 오디션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순항 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오디션 프로그램이 단순한 경합이 아니라, 지금처럼 음악을 발견하고 나누며 대중들과 이야기 할 수 있는 구조로 이어졌으면 한다. 결국 이런 활동들이 케이팝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더 발전할 수 있게 만드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음악, 그 이야기는 변함없이 계속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