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40여개 나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KOFICE 통신원들이 전하는 최신 소식입니다.
각 국에서 사랑받고 있는 한류소식부터 그 나라의 문화 소식까지 매일 매일 새롭고 알찬 정보를 제공합니다.
지난 10월 1일은 대한민국 국군의 날이었다. 국군의 날은 6·25 전쟁 당시 국군이 처음으로 38선을 돌파한 1950년 10월 1일을 기념하며 1956년에 제정했으며 올해 10월 1일은 국군 창건 76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한국과 비슷한 시기에 인도네시아도 군 관련 행사가 있다. 10월 5일은 바로 인도네시아군 창건 79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자카르타에 있는 국군박물관에는 인도네시아군과 관련된 다양한 전시가 구성돼 있다. 독립 이전 네덜란드 교전을 비롯해 인도네시아군 창설에 깊이 관련된 일본 관련 기록도 있다.
< (좌)인도네시아 사트리아 만달라 국군박물관, (우)전시된 무기 - 출처: 통신원 촬영 >
인도네시아를 점령한 일본은 태평양 전쟁에 동원하기 위해 자카르타에서 약 20km 떨어진 땅그랑에 '청년도장(靑年道場)'이라는 이름으로 지역민에게 게릴라전, 정보전 등을 가르치는 특수전 학교를 설립했다. 이어 1943년 10월 3일 '향토방위의용군(郷土防衛義勇軍, PETA)'도 창설했다. 또한 간부 양성을 위해 자카르타 남부 약 60km 지점에 있는 보고르에 간부 학교인 '의용군연성대(義勇軍錬成隊)'를 설립하고 이를 통해 학력이 높은 인도네시아인을 장교로 양성했다. 이런 방식으로 조직된 '향토방위의용군(PETA)'은 일본 패망 무렵까지 자바와 발리에 약 3만 7,000명, 그리고 수마트라에서도 약 2만 명을 교육해 준군인으로 배출했다.
인도네시아는 일본 항복 선언 이틀 후인 1945년 8월 17일에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18일 독립준비위원회(PPKI)가 정부 기본 조직을 발표했다. 8월 22일 인도네시아 정부는 '향토방위의용군(PETA)'을 해산하고, 23일자로 이들을 국민치안단(BKR)으로 규합했다. 이어 31일에는 수카르노와 모하마드 하타를 각각 대통령과 부통령으로 하는 인도네시아공화국 정부가 출범했다. 한편 네덜란드군과 영국군이 인도네시아에 진입하면서 인도네시아 독립을 위한 대응 수단이 절실했던 수카르노 대통령은 1945년 10월 5일에 국민치안단을 국민치안군(TKR)으로 승격시켰다. 이렇게 탄생한 국민치안군이 바로 현재 인도네시아군 근간이 됐으며 그날을 기념해 10월 5일을 인도네시아 국군의 날로 삼았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1966년 8월 영사관계를 맺으며 수교했고, 양국은 1973년 9월 18일에 외교관계를 대사급으로 격상했다. 이후 1989년 '대화 동반자(Dialogue Partnership)' 협정을 체결했으며 2023년 9월에는 양국 수교 50주년을 기념하며 양국 정상이 인도네시아에서 정상회담을 열었다. 양국은 방위산업 및 전기차 협력 강화 등 안보와 경제 분야 협력 강화에 합의했다. 2023년부터는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CEPA)'이 발효돼 우호 증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와 인연은 양국 외교관계 수립 이전인 6·25 전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인도네시아는 한국에 전투부대를 파병하지는 않았지만, 1952년에 전후복구지원금으로 당시 일본 지원금과 같은 14만 3,706달러를 한국에 보내왔다. 당시 인도네시아가 국제연합(UN) 가입국이 아님었음에도 국제연합한국통일부흥위원단(United Nations Commission for the Unification and Rehabilitation of Korea, UNCURK)을 통해 현금으로 지원했다. 이에 한국 국방부는 2012년 '6·25 전쟁 지원국 현황 연구' 포럼에서 지원국 명단을 재정립하며 물자지원국에 인도네시아를 포함시켰다.
군사력 측면에서 현재 인도네시아는 한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국가 중 한국산 무기를 가장 많이 구입한 국가로 특히 2001년 한국산 기본훈련기 KT-1 웅비를 최초로 수입했으며, 2011년에는 전술입문훈련기 16대도 최초로 수입했다. 2011년 대우조선해양에 잠수함을 발주해 최초로 한국산 잠수함을 수입했고, 2021년에는 전술입문훈련기 6대를 추가로 도입하는 계약에 서명했다. 올해로 수교 51주년을 맞이한 양국은 6·25 전쟁 때부터 이어진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통신원 촬영
- 《한인포스트》 (2022. 6. 25). 인도네시아, 6.25전쟁 복구에 143,706달러 현금지원...“은혜의 나라”, https://haninpost.com/archives/8015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12. 12). [전문가오피니언] 수교 50주년을 맞이한 한국-인도네시아: 성과와 지향점, https://www.kiep.go.kr/aif/issueDetail.es?brdctsNo=357806&mid=a30200000000&systemcode=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