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40여개 나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KOFICE 통신원들이 전하는 최신 소식입니다.
각 국에서 사랑받고 있는 한류소식부터 그 나라의 문화 소식까지 매일 매일 새롭고 알찬 정보를 제공합니다.
대만 잡지 《Women's Health(우먼스 헬스)》에서 11월 24일 기사를 통해 한국에서 필수로 구매해야 할 24가지 한국 기념품을 소개했다. 그간 대만인들이 한국 여행을 하면 전통적으로 구매해 오는 한국 식품은 '김'과 '라면'이었다. 대만인들의 한국 내 소비 패턴에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는 해당 기사는 제목에서부터 "지금 인기 있는 품목은 김이나 라면이 아닌 이 간식들"이라며 강조했다.
▣ 2025년 한국에서 꼭 사야할 기념품
No. | 중문명 | 국문명 |
1 | 韓國Dr.you蛋白質零食 | 닥터유 단백질 간식 |
2 | 烘烤海苔餅乾 | 구운 김 과자 |
3 | Delight Project低卡貝果餅乾 | 딜라이트 프로젝트 저칼로리 베이글 과자 |
4 | 市場阿珠媽正宗韓式泡菜 | 시장 아줌마 정통 한국 김치 |
5 | 韓式泡麵 | 한국 라면 |
6 | 樂天LOTTE ZERO系列 | 롯데 ZERO 시리즈 |
7 | 壓扁可頌 | 크룽지 |
8 | 農心 鹽味奶油/巧克力可頌餅乾 | 농심 빵부장 소금맛/초코맛 |
9 | CROW楓糖吉拿棒餅乾 | 크로우 메이플 츄러스 과자 |
10 | 韓國Samlip傳統蜂蜜藥菓 | 삼립 꿀약과 |
11 | 好麗友Sun太陽波浪玉米片 | 오리온 썬칩 |
12 | HERSHEY'S 巧克力麻糬餅乾 | 허쉬 초콜릿칩 모찌 쿠키 |
13 | 韓國超商GS25XNetflix獨家全系列餅乾 | 한국 편의점 GS25 × Netflix 독점 시리즈 과자 |
14 | 韓國鍋巴餅乾 | 누룽지 과자 |
15 | 松鼠牌優格葡萄乾 | 산과들에 요거트 건포도 |
16 | 鯷魚海鮮高湯包 | 멸치 해물 육수팩 |
17 | 買棉被 | 이불 |
18 | 聖水洞Milky Shop焦糖奶油餅乾 | 밀키샵 성수점 카라멜 버터샌드 |
19 | Anthractie Coffee 濾掛咖啡 | 앤트러아시트 드립커피 |
20 | PARIS BAGUETTE仁川機場限定堅果奶油餅乾 | 파리바게트 인천공항 한정 마음샌드 |
21 | S’more Ohgodmallow棉花糖曲奇餅乾 | 스모어 오갓멜로 쿠키 |
22 | 金玉堂生羊羹 | 금옥당 생양갱 |
23 | CHEFFLE起司蛋糕 | 치플레 치즈케이크 |
24 | Bricksand費南雪 | 브릭샌드 휘낭시에 |
※출처: Women's Health
첫 번째로 추천된 제품은 '해태제과의 닥터유 시리즈'다. 《Women's Health》는 "건강 열풍이 뜨거운 한국에서는 건강 간식 또한 다양하다."며 해태제과의 닥터유 시리즈를 소개했다. "식감이 풍부하며 포만감이 있고 특히 단백질칩의 경우 12g의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삭한 식감이 일반 감자칩 못지 않다."고 언급했다.
네 번째로 추천된 '시장 아줌마 정통 한국 김치'도 흥미롭다. 무엇보다 아줌마(阿珠媽)의 한국어 발음을 중국어로 그대로 음차한 표현이 사용됐다는 점이 흥미롭다. 한국어 '아줌마'가 대만 소비자들에게 이미 익숙해진 것으로 보인다. 《Women's Health》는 "한국의 전통시장에서 아줌마가 직접 담근 김치를 살 수 있다."며 광장시장이나 망원시장과 같은 대형 전통시장에서 김치를 구매할 것을 추천했다. 더불어 판매자에게 비행기를 타고 가져갈 것이라고 말하면 김치를 꼼꼼히 포장해서 밀봉해 준다는 팁도 전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전통시장에서는 매운 배추김치뿐만 아니라 대만에서는 쉽게 맛볼 수 없는 무김치, 파김치, 깻잎 등 다양한 김치를 만나볼 수 있어 다른 짐을 줄여서라도 집으로 사갈 가치가 있다."고 언급했다.
< 'Women's Health(우먼스 헬스)'에서 언급한 망원시장 - 통신원 촬영 >
이번에 소개된 목록에는 편의점 GS25, 해태, 롯데, 파리바게뜨 등 대기업의 제품뿐만 아니라 금옥당이나 치플레, 브릭샌드와 같이 비교적 작은 규모의 업체들의 제품 또한 포함돼 눈길을 끈다. 그중 금옥당의 생양갱은 스물두 번째로 추천됐다.《Women's Health》는 "한국에도 전통 양갱 디저트가 존재한다."면서 금옥당의 양갱을 소개했다. "일본과 달리 한국 양갱에는 단순히 팥소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특히 금옥당에서는 양갱에 창의력을 더해 견과류, 밀크티, 단호박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다."고 소개했다. "대형 박스는 한국의 전통 보자기로 정교하게 포장돼 어른이나 고객에게도 선물하기에 적합하다."고 평했다.
《Women's Health》에서 소개한 한국 기념품 리스트는 대만 관광객들의 소비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음과, 한국문화에 대한 대만인들의 관심이 다양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과 라면 중심인 기존의 전형적인 구매에서 벗어나 건강 간식, 전통 디저트, 소규모 브랜드 제품 등으로 대만 관광객들의 구매 품목이 확장된 점이 특히 눈에 띈다. 이는 단순한 여행지에서의 소비를 넘어 한국의 식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을 깊이 이해하려는 대만 소비자들의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는 대만 내 한류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사진출처
- 통신원 촬영
참고자료
- 《Women's Health》 (2024. 11. 24). 2025韓國必買24款「韓國伴手禮」!現在搶的是「這款零食」,不是海苔或泡麵, https://www.womenshealthmag.com/tw/mental/gotravel/g61201238/2024-korea-gift-top20/